유럽 법률에 의한 GMO

유럽 법률에 의한 GMO

유럽연합은 GMO와 관련하여 5개의 주요 관련 규정으로 정하고 있다. GMO에 관한 EU의 법률은 사전 예방 원칙에 따라 인간과 동물의 건강과 환경을 보호하고 유럽 내 내수 시장에서 효과적인 기능을 보장하기 위한 두 가지의 목표를 가지고 있다고 할 수 있다. 5가지의 주요 지침 및 규정은 시장에 출시될 GMO에 관한 관리와 시장에 출시되는 것 이외의 목적으로 의도적 환경 방출 우려를 방지하는 것과 GMO가 포함된 식품과 사료 그리고 격리된 조건에서 사용되는 유전자변형미생물에 관한 내용을 주요 내용으로 포함하고 있다. Directive 2001/18/EC의 Article 2에 명시되어 있는 GMO 정의는 ‘ 인간을 제외하고 유전 물질이 교배 또는 자연 재 조합에 의해 자연적으로 발생하지 않은 방식으로 변경된 유기체’ 를 말함으로 정의하고 있다. 우리나라도 미국과 같이 유전자변형생물체의 용도에 따라 책임을 맡고 있는 중앙 행정기관이 구분되어 있다. 각 법률에서 정의하고 있는 GMO 중에서 식품과 관련된 규정으로는 「식품 위생법」 제 12조 의 2(유전자변형식품등의 표시)와 「건강 기능 식품에 관한 법률」 제 17조의2(유전자변형건강기능식품의 표시 등)에 따른 GMO의 정의를 살펴보면, ‘인위적으로 유전자를 재 조합하거나 유전자를 구성하는 핵산을 세포 또는 세포내 소 기관으로 직접 주입하는 기술, 분류학에 따른 과의 범위를 넘는 세포 융합 기술 등 생명 공학 기술을 활용하여 재배·육성된 농산물, 축산물, 수산물 등을 원 재료로 하여 제조 가공한 식품 또는 첨가물로 정의하고 있으며 특히, 제조·가공 후에 유전자 변형 DNA 또는 유전자 변형 단백질이 남아있는 것으로 한정하고 있다. 농업의 생산성을 증대 시키고 안정적인 식량 확보를 위해 작물 육종 기술이 지속 발전을 거듭해왔는데 전통적으로 식물의 작물 화 및 개량을 위해 선발 육종 방법이 사용되어 왔다. 선발 육종은 현대 작물의 선조인 야생 식물을 장기간에 걸쳐 반복 선별함으로써 농업 환경에 유용한 유전 형질을 가진 작물을 만들어내는 방법이다. 우리가 섭취하고 있는 대부분의 작물들은 선발 육종을 비롯한 교배 육종, 돌연변이 육종 등 다양한 방법들이 작물 개량에 사용되었는데 최근에는 생명 공학 기술과 유전체 염기서열 분석 기술의 발전으로 유전자 편집 기술이 등장하게 되었다. 유전자 편집 기술(genome/gene editing technology)은 위치 특이 적 핵산 분해 효소 시스템을 이용하여 표적 DNA 서열의 특정 부위를 선택적으로 절단하여 절단 부위가 생물체 자체 기작으로 복구 되며, 이 과정에서 염기 중 일부가 소실되거나 단편이 삽입되거나 또는 다른 염기로 치환되어 변이를 일으키는 것을 말한다. 유전자 편 집에 사용되는 효소는 일반적으로 유전체에서 특정 위치를 찾아가는 인식 영역(DNA-binding domain)과 잘라내는 절단 영역(nuclease domain)으로 구성되며 이러한 기능을 갖춘 효소를 통상 유전자 가위(genome editor)로 부른다. 유전자 편집 기술은 기존 전통 육종 방법에 비해 유전자 교정의 정확도와 효율성을 향상 시키고 경제적이면서 빠르게 적용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어 유전자 편집 기술을 적용한 작물 품종 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지금까지 개발된 유전자 가위 기술은 핵산 분해 효소와 유전자 적중 방식에 따라 총 3세대로 구분되고 있다. 1세대 유전자 가위인 ZFN, 2세대 유전자가 위인 TALEN은 절단을 위한 핵산 분해 효소인 Fok I과 유전자 적중에 이용되는 단백질을 연결한 단백질 기반 도구이다. 1세대 유전자 가위는 징크 핑거 단백질을 이용한 유전자 가위로 징크 핑거 뉴클레아제(ZFN, Zinc Finger Nuclease)로 불린다. 징크 핑거 단백질은 단백질들이 아연 이온을 중심으로 한 손가락 형태의 구조를 띠고 있어 붙여진 이름인데, 구성하는 단백질의 종류에 따라 DNA 염기 서열에 결합할 수 있는 종류가 달라지며 하나의 단백질이 3개의 염기쌍(bp, base pair)에 결합함으로써 인식 기능이 작동하게 된다. 유전자 내 특정 염기 서열을 정확하게 찾기 위해서는 인식 영역이 충분한 길이가 되어야 하므로, 통상 4~6개 가량의 징크 핑거 단백질을 연결하여 사용하게 된다. 4쌍 의 징크 핑거 단백질을 가진 ZFN는 대략 24개 가량의 염기서열을 인식할 수 있다. 징크 핑거 뉴클레아제는 징크 핑거 단백질을 이용하므로 단백질 제작이 어려워 설계가 쉽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Leave a Comment